분류 전체보기219 12장 문서 객체 모델과 이벤트 다루기 공부할 내용 (433~453쪽) 1. 표준 내장 객체 자바스크립트에 기본으로 내장된 객체를 말한다. -문자열을 다루는 String 객체 문자열에서 사용할 수있는 속성과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includes() - 메서드 매겨변수애 안저로 전달되는 문자열이 대상 문자열에 포함되면 true 아니면 false replace() - 대상 문자열에서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인자로 전달되는 문자열과 일치하는 한부분을 찾아 다른 데이터로 변경한 새로운 문자열로 반환 replaceAll() - 대상 문자열에서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인자로 전달되는 문자열과 일치하는 모든부분을 찾아 다른 데이터로 변경한 새로운 문자열로 반환 split() - 매서드의 매개변수에 인자로 전달되는 구분자를 이용해 대상 문자열을 여러 개 의 문.. 2023. 3. 27. 11장 자바스크립트 객체 다루기 공부할 내용 (420~432쪽) 1.객체란? -객체란 키와 값으로 구성 속성의 집합이다. -객체는 모든 자료형의 데이터를 값으로 가진다. -배열 , 숫자, 논리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한 객체의 속성으로 추가할수 있다. const item = { name: "sword", price: 300$, } 2. 객체 속성 다루기 - 대괄호 연산자로 접근하기 item["price"] - 마침표 연산자로 접근하기 item.price - 객체 속성값 변경하기 - 객체 속성 동적으로 추가하기 이미 만들어진 객체에 나중에 속성을 추가하는 것이다. - 객체 속성 동적으로 삭제하기 객체 속성에 접근할 때 앞에 delete 키워드를 명시하면 속성이 삭제된다. 2023. 3. 24. 10-2장 자바스크립트 함수 다루기 공부할 내용 (406~417쪽) 1.스코프 스코프는 변수나 함수와 같은 참조 대상 식별자를 찾아내기 위한 규칙이다. -함수 스코프 함수 스코프는 함수에저 정의한 블록문만 스코프의 유효범위로 인정하는 방식이다. let a = 10; // 전역 스코프 function sum(){ let b = 10; // 지역 스코프 console.log(`함수 내부: ${b}`); } sum(); console.log(`함수 외부: ${a}`); -블록 스코프 {}로 구성된 블록문 기준으로 스코프의 유효범위를 나누는 방식이다. var a = 10; { var b = 20; console.log(`내부 a: ${a}`); console.log(`내부 b: ${b}`); } console.log(`외부 a: ${a}`); c.. 2023. 3. 22. 10장 자바스크립트 함수 다루기 공부할 내용 (392~405쪽) 1.함수란?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작성한 코드를 모아 둔 블록문이다. for (let i = 1; i { for(let i = 1; i 2023. 3. 21. 9장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살펴보기 공부할 내용 (366~389쪽) 1. 조건문 다루기 -if,else,else if 문 if문은 조건식이 참이면 코드를 실행하는 조건문이다. else는 if 조건문이거짓이면 실행되는 조건문이다. else if문은 일일이 조건을 걸어 실행하는 조건문이다. const num ='Saturday'; if (num === 'Monday') { console.log("I hate Mondays") } else if(num === 'Saturday') { console.log("I love Saturdays") } -switch문 case에 따라 값이 맞으면 블록문을 실행한다. switch (num) { case 1: console.log("1"); break; case 2: console.log("2"); brea.. 2023. 3. 20. 8장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살펴보기 공부할 내용 (332~365쪽) 1. 변수와 상수 -변수는 변하는 수를 뜻한다. -let 호이스팅이 일어나지 않는다. -const 기본 내용은 let 과 같지만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이 안된다. 2.자료형 -문자형 "나"로 둘러싸인 형태를 문자열이라고 한다. let string ="hello gilbut" -숫자형 자바스크립트 정수와 실수를 구분하지 않고 전부 하나의 숫자로 취급한다. let num1 = 11 let num2 = "gilbut" -논리형 논리형은 참 또는 거짓에 해당하는 논리값인 true 와 false를 뜻한다. -underfined 변수나 상수를 컴퓨터 메모리 공간에 선언하면 반드시 생성한 공간에 저장할 데이터를 할당하는데 할당하지 않을 경우 임시로 사용하는 것이다. -null nu.. 2023. 3. 17.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