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Coding & Book

Back-End43

[AWS] 로드 밸런싱과 로드 밸런서 로드 밸런싱이란?로드 밸런싱은 들어오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백엔드 서버에 분산하여 서버 풀 전체에 많은 양의 트래픽 들을 균형을 균등하게 배포하는 방법입니다.위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서버에 요청을 보내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 확장성, 보안등의 성능을 향상 시킬수 있습니다. 이때 장치로는 로드 밸런서를 주로 사용합니다.  로드 밸런서로드 밸런서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입니다.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시켜 부하를 분산하고,서버 간의 트래픽을 균형 있게 조절합니다.   로드 밸런싱 예시  온라인으로 웹 프로젝트를 운영한다고 가정해 봅시다.해당 웹 사이트에는 많은 사람들이 접속하여 웹사이트를 이용할 것입니다.하지만 이때 모든 요청들을 단일 서버에서만 처리하게.. 2024. 5. 6.
SpringBoot에서 Vue.js를 연동하고 실행해보자 구현해 볼 것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Vue.js를 SpringBoot에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따라서 Vue.js를 프로젝트를 기존에 진행하고 있던 spring Boot 내에서 설치하여 배포하려고 합니다. 설치 방법먼저 vue프로젝트를 설치해보겠습니다.깔끔하게 보기 위해서 Spring Boot 프로젝트에 vue 폴더를 생성한 후 진행하겠습니다.생성하는 방법은 리눅스 mkdir 명령어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mkdir vue  그러면 아래와 같이 vue 폴더가 생깁니다.  그럼 이 vue 폴더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vue 폴더로 디렉터리의 위치를 변경하겠습니다.변경 명령어는 cd 디렉토리명입니다.cd vue 그다음 vue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시작해 줍니다.vue init .. 2024. 5. 4.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코드 구현해보기_2 이전 포스팅 https://loui3.tistory.com/210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코드 구현해보기 이전 포스팅 https://loui3.tistory.com/207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구현해보기 구현해 볼 것 오늘은 Spring Boot와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하여 간단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loui3.tistory.com 구현해 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원가입에서 Repository와 Service를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들은 데이터베이스와의 로직을 처리하거나 상호작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Repository: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 2024. 4. 7.
[AWS] AWS에 문의하는 방법 문의 내용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EC2에 Spring boot 파일을 배포하였었습니다.그렇게 여러 가지를 팀원들과 테스트해보는 중 누군가가 아래와 같은 ip에서 제 도메인을 타고 악의적으로 접근하려고 했습니다. 처음에는 이게 뭔가 하다가 쉡스크립트 명령어인 chmod777 부분을 보고 별로 좋지 않은 내용인 것 같아url을 파악하기 위해 아래 사이트에 검색을 해보았습니다.https://urlhaus.abuse.ch/url/2796270/ URLhaus | Checking your browser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a robot by clicking on the checkbox belowurlhaus.abuse.ch  검색 결과 역시 멀웨어를 유포하는 악성 url이 맞았습.. 2024. 4. 4.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코드 구현해보기 이전 포스팅 https://loui3.tistory.com/207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구현해보기 구현해 볼 것 오늘은 Spring Boot와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하여 간단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기능은 제가 스프링 시큐리티에 대해 더 많이 알아보기 loui3.tistory.com 구현해보기 Spring Boot를 사용하여 간단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드는 RegistrationController, UserDTO, User 엔터티, UserRepositor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UserDTO: 데이터 전송을 위한 .. 2024. 3. 13.
[Spring boot] 간단한 회원가입 구현해보기 구현해 볼 것 오늘은 Spring Boot와 JWT(JSON Web Token)를 사용하여 간단한 회원가입 및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기능은 제가 스프링 시큐리티에 대해 더 많이 알아보기 위해 기본적인 Java 및 Spring Boot 기능만을 사용하여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구현해봤던것입니다.(실무는 X) 회원가입 시나리오 사용자는 회원가입 페이지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입력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받은 양식을 검증합니다. 유효한 양식인 경우, 서버는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고, 사용자에게 회원가입 성공 메시지를 반환합니다. 로그인 시나리오 사용자는 로그인 페이지에 접속하여 아이디와 비밀.. 2024. 3. 9.